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온라인광고
- 카카오
- 네이버마케팅
- 네이버이슈
- 카카오모먼트
- 온라인마케팅
- 네이버
- da매체
- 마케터
- 비전공자마케터
- 마케팅
- 마케터공부
- 온라인마케터
- 카카오키워드
- 마케터자격증
- SQLD
- 비전공자SQLD
- 자격증공부
- SQL자격증
- 마케팅이슈
- 네이버파워링크
- 마케팅자격증
- 마케터용어
- 디스플래이광고
- 네이버광고
- 마케터실무
- sqld시험
- GA4
- 네이버검색광고
- DA광고
- Today
- Total
주케터의 메모장
[MARKETING] Threads스레드의 등장! 광고 업계는 변화할까?(페디버스) 본문
안녕하세요
주케터입니다 :)
오늘은 마케팅 이슈를 가져와 보았습니다.

스레드 모두 써보셨나요?
2016년 틱톡이후,
올해 7월, 메타에서 새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스레드가 등장했습니다!
스레드란? Threads , 스레드만의 차별점은?
7월 6일 출시 이후 닷새만에 국내 스레드 앱 설치자 수는 100만명을 넘어섰다고 하는데요.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의 1억명의 가입자를 확보한 SNS로 자리매김 중입니다.
일주일도 안되어 트위터 가입자 절반가량을 확보한 스레드의 첫 성적표는 역대급이죠?
트위터 대항마로 불리는 텍스트 중심의 소셜 네트워크인 스레드는
트위터와 유사한 UI로 이목을 끌었지만 다양한 차이점이 있었는데요.
스레드 앱은 트위터처럼
이용자가 남긴 글 밑에 답글을 달거나
리포스트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고 있으며,
인스타그램과 달리 링크를
누르면 바로 연결이 가능한점,
사진 없이 텍스트로만 이뤄진 게시물을 올릴 수 있으며,
영상은 최대 5분까지 게시할 수 있었습니다
2분 20초로 제한되는 트위터보다 2분40초 많습니다!
그리고, 스레드가 탈중앙화 소셜 네트워크에 대한 지원 계획을 밝힘으로 차별화를 두었습니다.
메타 측은 향후 액티비티펍(Activity Pub)을 통해
페디버스(Fediverse)를 통합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페디버스란 무엇인가?
연방(federal)과
우주(universe)의 합성어인 페디버스는
여러 서버의 연합으로 구성된 탈중앙화(decentralization) 소셜 네트워크입니다.
스레드는 "누군가 소유하거나 제어하지 않는 페디버스
플랫폼에서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이 비전"이라고 말합니다.
페디버스는, 스레드 외에 다른 소셜 네트워크와 연동하고 기존 중앙화 방식이 아닌
탈중앙화 방식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즉, 한 가지의 SNS에서 활동하는 것이 아닌 다른 네트워크와 연동된다는 것이죠!
앞으로는 페이스북·인스타그램 같은 폐쇄형 단일 서비스보다
수십, 수백 개의 개인·서비스·서버를 연결하는 것이
진정한 개방형 소셜 네트워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같은 움직임은 웹 3.0의 핵심인 개방과 오픈소스, 데이터 소유 방식,
커뮤니티 운영 방식이 기존 중앙화가 아닌 탈중앙화 형태로 바뀔 것으로 보여
3.0의 확장이나, 큰 변화의 시기가 찾아올 것으로 생각되네요.

스레드 사용자 반응은 어떨까요?
사용자들은 트위터와 비슷하지만,
간편하게 인스타그램과 가입 연동이 되어
친숙하고 편리하다고 하는 반응이 많습니다.
반면, 스레드를 탈퇴하려면 인스타그램 계정을 탈퇴해야하며
비활성화는 가능하지만, 영구삭제는 되지 않아 불편하다는 사람들도 많았습니다.
또한 게시물 수정이 불가하고, 알림이 잘 뜨지 않으며,
다이렉트 메시지도, 팔로우하는 사람들의 게시물만
볼 수 있는 옵션도 없어 사용을 못하겠다는 평도 있었습니다.
저는 탈퇴, 비활성화 부분에 대해는 당황을 했었어요

또한, 최근 스레드 가입자 1억명 돌파후 이용자는 70% 급감했습니다.
스레드와 트위터가 승자없는 싸움을 하는 것도 있지만,
현재 1분 이내의 짧은 동영상인 '숏폼'이 대세가 되어
텍스트 기반 SNS 자체가 몰락하는 중입니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스레드의 미래에 대한 귀추가 주목됩니다.
광고업계의 변화도 있을까?
현재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광고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듯이
추후 영역을 넓히고 지속,유지가 된다면
스레드도 광고영역이 생길 것으로 예상됩니다.
어떤 위치에, 디스플레이 광고를 진행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스레드에 광고영역이 생긴다면 텍스트 위주에 이미지를 넣는 방식으로 광고가
집행되지 않을까 작게나마 예상해봅니다.
자,오늘은 스레드와 페디버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스레드는 과연 어떻게 변화할까요?
앞으로도 이슈가 있다면, 차근차근 정리해서 업로드 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그럼 안녕

'MARKETING >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KETING] 기본 용어 이해하기 2 (0) | 2023.12.18 |
---|---|
[MARKETING] 숏폼 시장의 확대 그리고 풀퍼널 마케팅 전략 (2) | 2023.11.27 |
[MARKETING] GA4, 기존 UA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0) | 2023.07.31 |
[MARKETING] 마케터와 MD의 차이점? (0) | 2023.07.20 |
[MARKETING] UTM이 대체 뭘까?!(만드는 방법,정의) (1) | 2023.07.13 |